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암 연재 16편] 호르몬 수용체 (HER2, ER, PR)에 따른 유방암 치료법

by 호기심 아카이브 2025. 3. 6.

호르몬 수용체 (HER2, ER, PR)에 따른 유방암 치료법

유방암은 암세포가 특정 호르몬 수용체(HER2, ER, PR)를 얼마나 발현하는지에 따라 맞춤 치료법이 결정됩니다.

 

호르몬 수용체 종류

호르몬 수용체 종류
호르몬 수용체 종류


1. HER2 양성 유방암 (HER2+, HER2 과발현)

HER2 유전자 변이가 있는 경우, HER2 단백질이 과발현되어 암세포가 빠르게 성장합니다.
전체 유방암의 **20~25%**를 차지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가집니다.

HER2 양성 유방암 치료법

1) 표적 치료제 (항HER2 치료제)

  •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허셉틴/Herceptin) → HER2 수용체를 차단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 퍼투주맙(Pertuzumab, 퍼제타/Perjeta) → 허셉틴과 병용 시 효과 증가
  • T-DM1 (카드사일라, Kadcyla) → 항체-약물 결합체로 재발 위험 감소
  • 투카티닙(Tucatinib), 네라티닙(Neratinib) → 뇌전이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

2) 화학요법 (항암제 병용 치료)

  • 도세탁셀 (Docetaxel), 파클리탁셀 (Paclitaxel) → 표적 치료제와 함께 사용

3) 수술 & 방사선 치료

  • 종양 크기에 따라 수술 후 보조 요법으로 HER2 표적 치료제 사용
  • 방사선 치료는 병기(stage)에 따라 결정

4) 호르몬 치료 (HER2+/HR+ 환자만 해당)

  • 타목시펜(Tamoxifen) 또는 아로마타제 억제제(AI) 병용 가능

HER2 양성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은 표적 치료제로 크게 향상됨

  • 과거에는 예후가 나빴으나, 허셉틴 등의 치료제로 5년 생존율이 85% 이상으로 증가

2.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ER+/PR+)

전체 유방암의 **70~80%**를 차지하며, 에스트로겐(ER)과 프로게스테론(PR)이 암세포 성장에 영향을 줌

 

호르몬 수용체 양성 (HR+) 유방암 치료법
1) 항호르몬 치료 (호르몬 억제제, 내분비 치료)
(1) 폐경 전 여성

  • 타목시펜(Tamoxifen, SERM 계열)
    •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차단해 암세포 성장을 억제
    • 5~10년간 복용
  • LH-RH 작용제 (고세렐린, 류프롤라이드 등)
    • 난소 기능 억제 (폐경 유도)

(2) 폐경 후 여성

  • 아로마타제 억제제 (AI, Aromatase Inhibitor)
    •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아리미덱스)
    • 레트로졸(Letrozole, 페마라)
    • 엑스메스탄(Exemestane, 아로마신)
    • 지방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합성을 억제 → 재발률 감소

2) 수술 & 방사선 치료

  • 초기 유방암(1~2기) → 유방 보존술 + 방사선 치료
  • 진행성 유방암 → 유방 전절제술 후 항호르몬 치료 병행

3) 화학요법 (고위험군 대상)

  • 항암제 사용 기준: 종양 크기,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라 결정
  • CMF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 메토트렉세이트 + 플루오로우라실) 요법 사용

호르몬 치료는 5~10년 동안 유지하며, 장기 생존율 향상에 기여


3. 삼중음성유방암 (Triple Negative, HER2-, ER-, PR-)

HER2/ER/PR 수용체가 모두 없는 유방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10~15%**를 차지합니다.

  • 호르몬 치료 & 표적 치료 불가화학요법(항암치료)이 유일한 치료법
  • 예후가 나쁘고, 재발률이 높음

삼중음성유방암 치료법
1) 화학요법 (항암제 치료 필수)

  • 도세탁셀 (Docetaxel), 파클리탁셀 (Paclitaxel)
  • 아드리아마이신 (Adriamycin, 독소루비신)
  • 시스플라틴 (Cisplatin), 카보플라틴 (Carboplatin)

2) 면역항암제 (PD-L1 양성인 경우 사용 가능)

  •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 티쎈트릭) →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여 암세포 제거
  •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키트루다) → PD-L1 발현이 있는 삼중음성유방암에 효과적

3) 항체-약물 접합체 (ADC) 치료

  • 사시투주맙 고비테칸(Sacituzumab govitecan, 트로델비) → 삼중음성유방암에서 승인된 표적 항암제

삼중음성유방암은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항암 치료가 중요

  • 진행 속도가 빠르므로 초기 치료가 생존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4. 호르몬 수용체 유형별 치료 요약

호르몬 수용체 유형별 치료 요약
호르몬 수용체 유형별 치료 요약


5. 결론 – 맞춤 치료가 생존율을 결정한다!

유방암 치료는 수용체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진행됩니다.


HER2 양성 → 표적 치료 필수 (허셉틴, 퍼제타)
호르몬 양성 → 항호르몬 치료 필수 (타목시펜, AI)
삼중음성 → 화학요법 +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트로델비)

 

자신의 유방암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의 치료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