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군 복무 중 민간병원 치료비 청구시 핵심사항 (놓치면 환급 x)

by 호기심 아카이브 2025. 3. 10.

2025년 군 복무 중 민간병원 치료비 청구시 핵심사항 (놓치면 환급 x)

군 복무 중 갑자기 아프거나 다쳤을 때, 군병원이 아닌 민간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진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025년 군 복무 중 민간병원 치료비 청구시 핵심사항 (놓치면 신청 x)

1. 군 복무 중 민간병원 진료비 지원 대상

다음에 해당하는 장병들은 민간병원 진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지원 대상
현역병(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상근예비역(상근병사)
군 간부후보생(사관학교 생도, 학사장교, 부사관 후보생 등)

 

2) 지원 제외 대상
학군(ROTC) 후보생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
의무경찰(의경), 의무소방대원, 해양의무경찰(해경 의경)

 

3) 간부(장교·부사관)는 지원 대상이 아님!
✔ 단, 공무 수행 중 다친 경우 '공무상 요양비'로 지원 가능

 

👉 자세한 내용은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하세요 ⬇️⬇️⬇️👈

 

국방 환자관리 훈령 (국방부훈령)(제2939호)(20240701).pdf
0.20MB
군 복무 중 민간병원 진료비 지원 대상
군 복무 중 민간병원 진료비 지원 대상

2. 지원받을 수 있는 진료 항목

1) 지원 대상 진료
입원·외래 진료 (급여 항목)
수술, 검사, 물리치료 등

 

2) 지원 불가 진료
✔ 비급여 항목 (예: 도수치료, 미용 목적 시술 등)
✔ 치과 치료 (일반 스케일링, 미용 목적 치아 교정)
✔ 건강검진, 예방접종

 

지원받을 수 있는 진료 항목
지원받을 수 있는 진료 항목

3. 민간병원 치료비 지원받는 절차

① 군 병원의 진료 후 민간병원 진료 승인받기
가능하면 군 병원에서 먼저 진료를 받아야 하며, 군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경우 민간병원 진료를 승인받을 수 있습니다.
✔ 군 병원이 없는 지역(격오지)에서는 군의관 승인 없이 바로 민간병원 이용 가능

 

② 민간병원에서 진료받고 진료비 본인 부담 후 영수증 보관
✔ 민간병원에서 진료 후 진료비를 본인이 먼저 결제
진료비 영수증 및 세부내역서(급여·비급여 포함) 필수 보관

 

③ 나라사랑포털 앱으로 진료비 청구
✔ 진료비 결제 후 '나라사랑포털' 앱을 통해 본인 부담금 청구
✔ 필요 서류 업로드 후 심사 진행

 

④ 심사 후 환급 (1~2개월 소요)
✔ 심사가 완료되면 본인 부담금 중 일부를 환급
✔ 환급된 금액은 나라사랑카드(체크카드) 계좌로 입금


4. 나라사랑포털 앱으로 진료비 청구하는 방법

① 나라사랑포털 앱 설치 & 로그인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 본인 인증 후 로그인

 

② '진료비 청구' 메뉴 선택
✔ ‘진료비 청구’ 메뉴에서 병원명, 진료 날짜, 진료비 영수증 업로드

 

③ 필수 서류 업로드
진료비 계산서(영수증)
진료비 세부내역서(급여·비급여 포함)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앱 내 제출 가능)

 

진료비 계산서(영수증) 샘플
진료비 계산서(영수증) 샘플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④ 신청 완료 후 환급 확인
✔ 심사 후 1~2개월 내에 환급 진행
✔ '나라사랑포털'에서 실시간으로 진행 상황 확인 가능


5. 환급 금액 & 본인 부담금

지원 금액 계산법

환급 금액 & 본인 부담금
환급 금액 & 본인 부담금

 

예시 1) 병원에서 10만 원을 결제한 경우 (급여 항목 100%)
- 병원급 이상이므로 2만 원 공제 후 80% 지원
- 10만 원 - 2만 원 = 8만 원 × 80% = 6만 4천 원 환급

 

예시 2) 의원급에서 5만 원 결제한 경우
- 의원급이므로 1만 원 공제 후 80% 지원
- 5만 원 - 1만 원 = 4만 원 × 80% = 3만 2천 원 환급


6. 민간병원 진료비 지원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1) 환급이 안 되는 경우
✔ 군 병원의 사전 승인 없이 민간병원 진료를 받음
✔ 비급여 항목(미용 목적 치료, 도수치료, 치아 교정 등)
✔ 군 병원에서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지만 개인 사유로 민간병원 선택

 

2) 해결 방법
✔ 군 병원 이용이 어려운 경우, 사전 승인(군의관 상담)을 받고 민간병원 이용
✔ 비급여 항목은 개인 비용 부담

 

민간병원 진료비 지원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민간병원 진료비 지원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7. 실제 후기 (온라인 커뮤니티, 블로그 기준)

1) "무릎이 아파서 민간 정형외과에서 MRI 촬영했는데, 급여 항목만 환급받았어요. 도수치료는 비급여라 지원 안 됨!"

2) "나라사랑포털 앱으로 진료비 청구했더니, 1달 만에 60% 정도 환급받았어요. 생각보다 빨리 들어옴!"

3) "군병원에서 감기약만 줘서 민간 이비인후과 갔는데, 승인받고 갔더니 80% 지원받았어요!"

4) "라식 검사하려고 갔는데 비급여라서 지원 안 됨. 꼭 급여 항목 확인 필수!"


8. 정리 – 군 복무 중 민간병원 진료비 지원받는 방법 요약

군병원에서 먼저 진료받고, 필요 시 민간병원 진료 승인받기
민간병원에서 진료비 결제 후 영수증 보관
나라사랑포털 앱으로 영수증 업로드 & 진료비 청구
1~2개월 내에 환급받기 (비급여 항목 제외, 급여 80% 지원)

 

비급여 항목(도수치료, 치아교정 등)은 지원 안 됨!
사전 승인 없이 개인적으로 민간병원 이용하면 지원 불가!